본문 바로가기

보험

생명보험과 기후변화의 관련성 2

  • SCOR의 「생명보험에 대한 기후변화의 관련성」 보고서 시리즈 중 두 번째 보고서(Part 2)2)는 의료감독관의 관점에서 작성됨. SCOR의 아시아 언더라이팅&클레임 책임인 Sonal Bagul 박사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과 인간의 건강 사이에 어떠한 생리학적 메커니즘이 있는지 설명함(p.2)
  • 과학자들에 따르면 기후변화는 주요한 공중보건상 위급상황으로 인식되고 있음. 기후변화로부터 발생하는 주요 현상들은 인간과 동물들의 사망률 및 질병률에 직·간접적인 영향을 미침. 직접적인 영향에는 부상, 열 관련 질병, 사망, 호흡기 및 심혈관 질환의 악화, 전염병 등이 있으며(자연적 영향), 간접적인 영향에는 강제 이주 및 신체적·정신적 건강이 포함됨(사회경제적 영향). 보고서에 따르면 기후 그 자체보다는 기후로 인한 환경적, 생태학적, 사회적 영향이 인간의 건강에 더 큰 영향을 미칠 수 있으며, 기후변화는 새롭고 복잡한 위험으로 예측이 어려운 현상임(p.2~3)
  • 보고서는 인간이 극단적인 기상 조건에서 체온조절에 실패하는 경우 심혈관 질환, 호흡기 질환, 뇌혈관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함. 인간은 피부 표면에서 복사에너지(radiation), 전도(conduction), 대류(convection), 증발(evaporation)로 인해 대부분의 열 손실이 발생함을 언급하면서(p.3~4), 극한의 온도와 기후가 각각 심장, 혈관, 호흡기, 신장, 당뇨병, 약물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주로 설명을 제시함(p.4~8)
  • 해당 보고서는 극한 기후가 약물 및 어린이에게 미치게 될 영향에 대해서도 언급하였음
  • 예를 들어 인슐린은 고온에 장기간 노출되는 경우 변형(화학적 분해 등)이 발생할 수 있으며 이에 따라 적정 용량의 투여 시에도 부작용이 발생할 수 있음. 그러나 의료인 및 환자는 약물의 변형 및 효능에 따른 영향을 예상하지 못할 가능성이 높으므로, 보관 및 운송 조건에 대한 집중이 필요함을 강조함
  •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노년층 외에도 어린이들이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, 기후변화의 영향은 임신 중 태아 단계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고, 이로 인해 어린이에게 평생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언급함. 연구에 따르면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야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고 이에 따라 신체적 부상, 대기오염, 질병 및 자외선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음(p.9~10)


    <원문 자료>
    1. SCOR(2022.10.27), The relevance of climate change for life insurance(Part 2 – The Medical Director’s View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