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보험

생명보험과 기후변화의 관련성 1

  • 기후변화의 보험산업에 대한 영향과 관련하여 손해보험 부문(특히 주택보험 등)에서는 특정 지역 보험인수 중단 등의 이슈가 제기되고 있으나, 생명보험 관련 특정 이슈는 발견되지 않았음. 생명보험 상품 및 요율, 손해율 등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는 검색이 어려웠으나, 조사과정에서 발견한 SCOR의 자료를 참고자료로 소개함
  • 글로벌 재보험사인 SCOR는 「생명보험에 대한 기후변화의 관련성」이라는 제목으로 보고서 시리즈를 발간 중임. 첫 번째 보고서는 리스크 관리자의 관점에서1), 두 번째 보고서는 의료감독관의 관점에서2), 최근 발간된 세 번째 보고서는 전염병학자의 관점에서3) 작성됨. 본 자료조사의 내용은 “Part 1” 보고서의 내용이며, 총 3회에 걸쳐 각 보고서의 요약을 제출할 예정임
  • Part 1 보고서는 우리가 인류세(Anthropocene*)에 살고 있음을 언급하면서, 미래의 질병률 및 사망률에 대한 예측이 점차 더 어려워지고 있으며, 생명보험회사와 같이 장기적인 사업적 이해관계를 갖는 회사는 기후변화 및 그에 따른 직·간접적인 영향을 이해하기 위해 노력하는 것이 필수적임을 강조하였음(p.2)
  • 또한 생명보험과 기후변화의 관련성은 보험상품의 종류, 지역, 피보험자의 연령, 피보험자의 건강 및 사회경제적 상황에 따라 달리 나타나며, 간접영향의 경우 수명 등으로 관측이 어려우므로 초기 모니터링이 필요하다고 설명함(p.5~6)
     보고서는 지역별 미래 예측 온도와 사망률 사이의 관계에 관한 설명을 포함하고 있으며(p.10), 특히 미국에 대해서는 지역별 온도 상승에 따른 SCOR 자체 시나리오를 작성함. SCOR에 따르면 온도 상승으로 인한 질병 및 사망 위험은 노인과 영유아, 임산부 등을 포함한 취약계층에서 특히 증가할 것으로 예상되며, 65세 이상의 사망률은 과거 일반 인구 평균 사망률의 6배, 비히스패닉계 흑인의 사망률은 2배 높아질 것으로 예측됨(p.7~8)
     
     * 인류세; 인류의 자연환경 파괴로 지구의 환경이 급격하게 변화하였고, 그로 인해 지구환경과 맞서 싸우게 된 시대
     특히 생명보험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세계적인 기후변화 추세로는 ① 극한의 열(extreme heat), ② 악천후(severe weather), ③ 대기오염(air pollution), ④ 감염성 질환(infectious diseases), ⑤ 물과 식량 안보(water and food security)가 있으며, 이외에도 기후변화로 인해 유발되는 정신적·심리적 영향 및 지정학적 갈등과 같은 간접영향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언급함(p.2~5)
     


<원문 자료>
1. SCOR(2022.04.12), The relevance of climate change for life insurance(Part 1 – The Risk Manager’s View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