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2040년 미국의 UAM 시장 규모는 3,281억 달러일 것으로 전망되며1) 2025년 경 초기 서비스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. 이에 따라 연방의회와 연방항공청은 관련 법제 및 지침을 발표 중2)
- 미국 연방항공청(FAA;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)은 도심과 교외 지역에서 승객과 화물 운송을 위해 자동화된 저고도 비행체를 이용하는 항공교통시스템을 UAM, 도심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 간 운항, 공공서비스, 민간/레저 비행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상위 개념을 AAM(Advanced Air Mobility)로 구분하고 있음
- UAM 연구개발 초기 미국 정부는 NASA를 중심으로 PAVE(Personal Air Vehicle Exploration)3)를 추진하였으나 중국과의 UAM 주도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최근 민간(조비 에비에이션, 알라카이, 베타 테크놀로지 등)중심 사업으로 정책 기조를 변경함4)
- 연방의회는 UAM의 발전을 위해 법제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, 관련 법안으로는 AAM에 관한 인프라의 개발 및 포괄적인 계획에 2,500만 달러의 보조금을 투자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「첨단항공인프라현대화법(AAIM Act; Advanced Aviation Infrastructure Modernization Act)」 및 AAM 관련 실무반 구성을 위한 「AAM조율과리더십법(Advanced Air Mobility Coordination and Leadership Act)」 등이 있음
- 또한 LA의 경우 미국 최초로 'UAM 파트너십5)'을 구축하고 기존 인프라와 교통 네트워크에 UAM을 접목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, LA 주민들에게 홍보, 교육, 체험의 기회를 제공함. 최종적으로는 UAM 도입을 고려하는 시와 카운티 등 각 지자체에서 모델로 이용할 수 있는 정책도구를 개발할 예정임
<관련 자료>
UML(2022.02), 2021 Urban Movement Labs Annual Report
<각주>
1) 전국경제인연합회(2022.04.28), UAM 동향 및 과제
2) 국회도서관(2022.03.24), 미국의 도심항공교통(UAM) 준비 현황, LA 사례를 중심으로, 2022-6호(통권 32호)
3) 개인용 항공기(PAV; Personal Air Vehicle)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미래형 비행체에 관한 개념 연구
4) https://www.opinion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7733
5) 도심이동연구소(Urban Movement Lab), LA 시장실, LA 교통부 간의 파트너십. UML은 LA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기관으로 LA 경제개발부 산하 조직이었으나, 2020년 비영리기관으로 출범하였음
'법률 및 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국 자율주행 규제 관련 정부 제안 및 협의 내용 (0) | 2025.04.18 |
---|---|
일본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개정 동향 (0) | 2025.04.17 |
미국 뉴욕, 전기자전거 및 전기스쿠터 규제 (0) | 2025.04.12 |
호주의 AI 규제 강화 (0) | 2025.04.11 |
영국, 자율주행차량 관련 법안 발표 (0) | 2025.04.10 |